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ython110

파이썬 초급 #009 print함수, input 함수 - 숫자 입력, 문자열 입력("",'')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09 print함수, input 함수 - 숫자 입력, 문자열 입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입력함수 출력함수 (가) input(), print() (1) print() -프린트 함수 , 출력함수로 입력받은 지시사항을 실행하여 보여준다. - 변수의 경우 변수를 넣어주면 변수에 저장된 값 즉 변수값을 보여준다. - 문자 및 문자열 출력시 " " 를 사용하면 그 안에 있는 내용을 출력한다. (2) input() -입력함수 -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함수로 변수에 자료를 입력받도록 해주는 함수 - 입력값은 문자나 문자열, 숫자(정수형, 실수형)로 원하는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함수 print() a='hi' b="hi" c=12 print(a).. 2022. 1. 17.
파이썬 초급 #008 함수 호출 len 함수 , input 함수 안녕하세요. 스마트 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08 함수 호출 len 함수 , input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함수 호출 가. 함수 호출 (1)len 함수 - 문자열 길이 알려주는 함수 (2) input 함수 - 사용자로 부터 입력을 받는 함수 - 변수=input("문자열") - 문자열 안에는 입력받는 내용을 알려준다. - 입력받는 자료형은 기본형은 문자열이다. - 숫자를 입력받기 위해서 int( 정수형),float(실수형)를 적어준다. len 함수 a="hi" hi가 길이는 2 이므로 len(a)는 2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공란이 있으면 이 또한 1로 취급하게 됩니다. b="hello" hello 5가 이므로 len(b)는 5 를 출력 c="hi! python" 공란 포함 모두 10을 .. 2022. 1. 16.
파이썬 초급 #007 수식과 연산자 (2) 지수 연산, 반올림하기: round()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07 수식과 연산자 (2) 지수 연산, 반올림하기: round()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식과 연산자, 반올림하기: round() 가. 지수 연산과 input함수 (1) 지수 연산 - ** 뒷에 있는 숫자 만큼 곱한다. 2*3은 2와 3의 곱으로 6이지만 2** 3 은 2*2*2 를 의미하여 8이다. 같은 방식으로 2**4 는 2*2*2*2 로 16을 의미한다. (2) round 함수 -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a=2*3 2와 3의 곱으로 6 출력 b=2**3 2를 3번 곱하는 것으로 2*2*2 로 8이 출력 c=2**4 2를 4번 곱하라는 것으로 2*2*2*2 로 16을 출력 ** 은 헷갈릴 수 있으니 필히 기억해야 한다. d="hi"*2 .. 2022. 1. 15.
파이썬 초급 #006 수식과 연산자- 산술 연산자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06 수식과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식과 연산자 가. 수식과 연산자 (1) 수식(expression) - 피연산자들과 연산자들의 조합 - 연산자(perator)란 연산을 하는 기호 - 피연산자(operand)란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연산을 당하는 것 a=5+2 이라고 하면 a는 변수 이고, 연산자는 +, 숫자, 5와 2가 피연산자이다. (2) 산술연산자 - 산술 연산을 하는 사칙연산 즉 덧셈(+), 뻴셈(-), 곱셈(*) 나눗셈(/)과 %( 나머지 연산), 정수 나눗셈(//)이 있다. - 나머지 연산자(%)와 정수 나눗셈 연산자(//)가 있으니 파이썬에서 꼭 기억해야한다. 코드의 값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int1=100.. 2022. 1.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