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초급 #006 수식과 연산자- 산술 연산자

by Smart Factory in 2020 2022. 1. 1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06 수식과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식과 연산자 

가. 수식과 연산자

(1) 수식(expression)
- 피연산자들과 연산자들의 조합
- 연산자(perator)란 연산을 하는 기호
- 피연산자(operand)란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연산을 당하는 것 
    a=5+2 이라고 하면 
 a는 변수 이고, 연산자는 +, 숫자, 5와 2가 피연산자이다.  

(2) 산술연산자
- 산술 연산을 하는 사칙연산 즉 덧셈(+), 뻴셈(-), 곱셈(*) 나눗셈(/)과  %( 나머지 연산), 정수 나눗셈(//)이 있다. 
- 나머지 연산자(%)와 정수 나눗셈 연산자(//)가 있으니 파이썬에서 꼭 기억해야한다. 

 

 

 

 코드의 값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int1=100
int2=45
int3=3
print(" 두 수의 합은 :",int1+int2)

-  100과 45의 합으로 145 입니다. 

print(" 두 수의 차은 :",int2-int3)


 45-3 으로 42

print(" 두 수의 곱은 :",int3*int1)


3*100으로 300입니다.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1/int3)


100나누기 3으로 33.333333333333336 이 나왔습니다. 소수 부분이 있는 연산으로 float영역(실수 영역까지 소수점 14자리까지 유효값으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은 소수점 15번째 자리입니다.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int1/int3))


int가 붙어서 정수형으로 처리를 하게 됩니다. 
100을 3으로 나누면 33이 나옵니다. 소수점 이하 부분은 버림으로 처리합니다.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float(int1/int3))


100나누기 3으로 33.333333333333336 이 나왔습니다.
자료형 구분으로 float 실수값으로 소수점까지 표현합니다. 형변환 없을때와 같습니다. 형변환은 다음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int1//int3))

// 두개 있습니다. 100// 3으로  정수만 남게 하는 연산입니다. 33이 나오는데 정수형입니다. 그래서 33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float(int1//int3))


// 연산으로 100//3 으로  형변환 float입니다. 33.0으로 연산됩니다. 

print(" 두 수의 나머지 연산은 :",int(int1%int3))

%나머지 연산입니다. 100을 3으로 나눈 나머지를 정수형으로 나타내면 1입니다. 

int1=100
int2=45
int3=3
print(" 두 수의 합은 :",int1+int2)
print(" 두 수의 차은 :",int2-int3)
print(" 두 수의 곱은 :",int3*int1)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1/int3)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int1/int3))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float(int1/int3))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int(int1//int3))
print(" 두 수의 나눗셈은 :",float(int1//int3))
print(" 두 수의 나머지 연산은 :",int(int1%int3))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