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ython110

파이썬 중급 #052 리스트 -list 인덱스(index) 와 요소값 출력 안녕하세요. 스마트 팩토리입니다. 1. 리스트 인덱스와 요소값 (1) 리스트 인덱스 list1=[1,2,3,4...n] 리스트 요소가 위 처럼 숫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1 은 list1[0]이 된다. 2 는 list1[1] .. 이 처럼 인덱스는 출발점이 0부터 이다. 리스트는 요소값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이기에 리스트 요소가 저장된 순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코드를 보면서 알아보면 list1=[1,2,3,'first','second','하나','둘'] print(list1) list1의 요소를 출력합니다. print("list1[0]",list1[0]) print("list1[1]",list1[1]) print("list1[2]",list1[2]) print("list1[3]",list1[3]) print(.. 2022. 4. 23.
파이썬 중급 #051 리스트 -list ,append()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중급 #051 리스트 -list ,appen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 자료가 많은 경우 리스트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저장할때 사용한다. 다양한 리스트 함수를 활용하여 자료를 저장, 삭제를 할 수 있다. [ ] 대괄호를 사용하면 리스트 요소값을 저장할 수 있다. scores=[] print("리스트 값:", scores) 빈 리스트를 만들때 자료값을 넣지 않으면 된다. scores.append(10) print("리스트 값:", scores) append 함수를 활용하여 자료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scores.append(20) print("리스트 값:", scores) 기존에 있던 리스트 자료에 순차적으로 추가한.. 2022. 4. 20.
파이썬 초급 #050 함수 -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문자열(string)(call by value) 안녕하세요. 스마트 팩토리입니다.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문자열(string)(call by valu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문자열(string)(call by value) 가.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문자열(string)(call by value) 문자열의 경우도 문자의 값이 인수로 전달되어 변경되지 않는다. 이를 immitable object 한다. 이는 해당 인수의 주소값을 이해할 수 있다. 함수 내에서 값이 변경된 경우 해당 변수의 값은 새로운 객체에 저장되어 진행된다. 함수 부분 def addstr(string): string+="반갑습니다. " print("addstr() 내에서 string 값 : ", string) print("addstr() 내에 st.. 2022. 4. 15.
파이썬 초급 #049 함수 -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call by value)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초급 #049 함수 -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call by value)애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참조값에 의한 인수 전달 값에 의한 호출 즉 값만 전달되고 변수는 변하지 않는다. 코드를 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def modify(n): n=n+1 print("함수내 n 값은 :", n) print("함수내 n 주소값 : ", id(n)) 함수 영역입니다. ~~~~~~~ n=10; print("호출전 n 의 값은 :" , n) print("호출 전 n 주소값 : ", id(n)) 변수 n 에 10 이 저장되고 그 출력값과 주소값을 보여줍니다. modify(n) 함수 부분이 실행됩니다. 함수에서 호출된 인수 값 즉 n 값이 1 증가되고 그 주소값도 출력됩니다. .. 2022. 4.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