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바기초 # 003.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데이터 타입(boolean, char, int, long, float, double) 암기 사항

by Smart Factory in 2020 2021. 3. 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자바기초 # 003.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데이터 타입(boolean, char, int, long, float, doub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번 보면서 이해하고 이후에 계속 실습하면서 변수를 선언하면서 서서히 자바의 기초를 접하게 됩니다. 변수 타입은 어쩌면 자바의 기초 중에 기초가 아닌가 싶습니다. 

1. 자바 변수의  타입(Data Type)

 

(1) 논리형

참과 거짓 즉 1 과 0 으로 판단하여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형태 조건식이나 논리적 계산에 사용되는 타입입니다. 

크기는 1바이트 입니다. 

 

(2) 문자형 

문자를 저장하여 변수 하나당 하나의 문자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크기는 2바이트입니다. 

(3) 정수형-

-정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태 중에 하나로 실수형과 함께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

int형은   4바이트 long형은 8바이트 입니다. 

byte나 short의 경우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알아는 두어야 합니다. 크기는 1바이트와 2바이트입니다. 표현할수 있는 범위가 작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이 충분히 큰 요즘과 같은 시대에는 잘사용하지 않습니다. 

자바 이전에 c 언어와의 호환을 위해서 2바이트 short를 추가 되었습니다. 

(4) 실수형

- 실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합니다. 

- 기본형은 double 로 8바이트 실수는 소수점 표현에 유용하면 float 형태보다 더 작은 소수 범위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float의 경우 2.2f와 같이 실수를 선언할때 f적어주어야 합니다.

 

 

----------------------------------------------
package pkg01;
public class test0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char chr='a'; int year=14; int age=13;
long result =10;
float result1=10.1f;
double d=42.195;
System.out.println("ch :"+chr);
System.out.println("long 타입 출력 :"+ result);
System.out.println("float 타입 출력 :"+result1);
System.out.println("double 타입 출력 :"+d);
System.out.println("연과 해의 합 :"+year+age);
System.out.println("연과 해의 합 :"+(year+age));
System.out.println(); String str=new String("java");
System.out.println(str+"공부는 필수 ");
System.out.println(str.toString()+"를 배워봅시다.");
Object obj1=new Object(); System.out.println(obj1); } }
---------------------------------------------------------

문자열부터 실수형까지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코드를 실행해보고 하나씩 판단해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과 해의 합에서  year+age의 경우 앞에 문자가 있어서 각각 숫자로 인식하지 않아 ( ) 를 적용하여 숫자 연산이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