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중급 #059 리스트 - 주소확인 id(), 더하기 연산

by Smart Factory in 2020 2022. 5.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입니다. 

파이썬 중급 #059 리스트 - 주소확인 id(), 더하기 연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 연산 더하기

리스트 변수끼리의 연산은 
요소값의 합을 의미한다. 
하지만 각 변수의 주소는 다르다는 것이 포인트
이는 다시 말해 또다른 주소값이 생기는데 이를 객체라고 생각하면 된다. 



list1=["월요일","화요일"]
list2=["수요일","목요일"]
list3=["금요일","토요일"]

print(list1)
print(list2)
print(list3)

list1, list2, list3 변수에 각각 요소값을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print("list1 주소값  :",id(list1))
print("list2 주소값  :",id(list2))
print("list3 주소값  :",id(list3))

리스트 변수 각각에 주소값을 따로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서로 별개의 리스트 변수임을 알 수 있다. 
list4=list1+list2
list5=list4+list3
print(list4)
print(list5)

list4 는 list1과 list2를 더하는 연산으로 되어 있는 리스트이다. 출력값을 보면 list1 이 먼저 값이 저장되고 뒤에 list2 요소값이 저장되어 리스트를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print("list4 주소값  :",id(list4))
print("list5 주소값  :",id(list5))

list4, list5의 주소값도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다른 리스트의 합으로 구성된 리스트 변수는 새로운 리스트 변수로 새로운 주소값을 가지게 된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겠지만 새로운 변수로 남는지 기존에 있던 변수에 요소값이 변경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list1=["월요일","화요일"]
list2=["수요일","목요일"]
list3=["금요일","토요일"]

print(list1)
print(list2)
print(list3)
print("list1 주소값  :",id(list1))
print("list2 주소값  :",id(list2))
print("list3 주소값  :",id(list3))

list4=list1+list2
list5=list4+list3
print(list4)
print(list5)
print("list4 주소값  :",id(list4))
print("list5 주소값  :",id(list5))
728x90
반응형

댓글